티스토리 뷰
금리의 단위는 bp (basis point) 0.01% 가 1bp이다.
경기가 안 좋으면 장기 국고채 수요가 증가해서 장-단기 금리차이가 축소된다.
한국 자금중개 홈페이지에서 채권시장 탭의 채권금리 조회 가능하다.
채권과 금리를 알기 쉽게 비유하면 :
시장에서 국고채(갤럭시)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면 국고채의 금리(보조금)가 낮아질 것이다.
회사채(샤오미)의 인기가 높아지면 회사채의 금리(보조금)는 낮아진다.
국고채와 회사채의 금리차이(신용 스프레드)는 경기의 상태를 말해준다.
경기가 좋지 않을 때는 리스크 프리미엄(가산금리)가 상승해서 신용스프레드(금리차이)가 확대된다.
RP repurchase agreement 환매조건부 매매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 정해진 가격을 다시 사거나 팔 수 있는 상품으로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의 RP금리다.
MMF
Money Market Fund 만기 1년 미만의 콜, RP, CD, 국채, 기업어음에 투자하는 초단기 펀드
CMA
종합자산관리계좌
은행예금수준의 금리를 지급하면서 급여이체나 공과금 납부 등 은행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장
금리상승기에는 RP형 CMA이 유리
금리하락기에는 MMF형 CMA이 유리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채권매매정보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www.kofiabond.or.kr
채권fixed income은 가격 대신 수익률로 거래한다.
1년에 5%를 지급하는 채권이라면 표면금리 수익률은 5%
만기수익률 Yield to Mqnturity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얻게 되는 총 수익률
= 자본수익률 +표면금리 수익률
=현재부터 만기까지 발생하는 모든 현금에 대한 현재가치의 합계인 채권의 현재가격을 만드는 할인율discount rate을 의미한다.
금리와 채권가격은 반비례
만기에 1만원을 받을 수 있는 채권의 만기수익률이 10%라면
현재가치는 9090원 (1만원 나누기(1+10%))
채권투자의 리스크
1. 채권가격의 변동위험
2. 신용위험
3. 유동성위험
양적완화 Quantitative Easing
QE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가 제로에 가까워 통화정책의 효과를 볼 수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시중은행의 채권을 직접 사들여 경기회복을 도모하는 것이다.
CB 전환사채
BW 신주인수권부사채 bond +warrant(주식을 인수할 수 있는 권리)
EB 교환사채
기업공개 IPO (Initial Public Offering)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비율 :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
PBR
Price to Book-value Ratio 주가 순자산비율 :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주당 순이익을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
높을수록 기업이 투자대비이익을 많이 낸다는 의미
EPS
Earing Per Share 주당 순이익
BPS
Book value Per Share 주당 순자산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NAV
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
순자산총액(자산 빼기 부채)을 ETF의 총증권수로 나눈 값
중도환매가격의 기준
NDF
Non-Deliverable Forward
역외선물환시장 또는 여기서 거래되는 차액결제 선물환 만기에 원금의 상호교환없이 (Non-Deliverable) 계약한 선물환율과 만기 때 현물환율과의 차액만을 기중통화(달러)로 정산하는 선물환(Forward) 계약
ELS
주가연계증권
DLS
파생결합증권
ABS
자산유동화증권 : 현금화하기 어려운 자산을 담보로 맡기고 자금을 조달하는 상품
CDS
Credit Default Swap 신용부도스왑 : 신용위험에대한 보험
